Mathematics
Learn Mathematical principles behind our physical world
Updated at 2021.4.14
Updated at 2019.05.05
Updated at 2015.01.18
Geometrical Meaning of Numbers
기하학(Geometry
)은 도형을 다루고, 대수학(Algebra
)는 숫자를 다룬다. 서로 출발이 다르지만 이 둘을 결합하여 잘 이해하면 수와 기하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힐 수 있다. 특히 앞의 글에서 허수를 설명하였으나, 그것을 상상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여기서는 수 특히 허수의 기하학적 의미를 알아보려 한다.
수직선(數直線, Number Line)
실수(Real Number
)를 하나의 수평인 직선상에 나타내보자. 가운데 0을 나타내고, 오른쪽으로는 양수를, 왼쪽으로는 음수를 그리고 그 위치는 크기에 비례하여 배치한다. 그러면 직선상의 모든 점을 실수로 나타낼 수 있고, 각 점이 하나의 실수에 대응한다.
사칙연산의 의미
더하기
와 빼기는 무엇을 의미할까? 그 수만큼 좌우로 움직이는 것이다. 아래 그림을 보자. \(y = x + 2\) 는 오른쪽으로 2칸 이동하는 것이다. 당연히, 빼기는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곱하기
는 무엇을 의미할까? 1보다 큰수를 곱하면 0을 기준으로 그 점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그 배수만큼 수직선을 늘리는 것이고, 0보다 크고 1보다 작은 값을 곱하면 그 거기를 축소하는 것이다. 아래 그림을 보자. \(y = 2 \times x\)
너무 당연하고 쉬운것을 가지고 "지금 뭐하고 있나?"라로 생각할 수 있지만, 기본 개념을 명확히 해야 복잡한 것을 이해할 힘이 생긴다.
-1의 의미
0을 곱하는 것은 모든 점을 0이라는 1개의 점으로 모으는 것이다. 그러면 -1를 곱하는 것은?
누구나 좌우를 바꾸는 것이다라고 답할 것이다. 맞는 말이지만, 좀 다르게 생각하면, 평면상에서 180도 회전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1를 두번 곱하면 360도 회전이 되어서 원래값 \(1=(-1)\times(-1)\) 로 돌아오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렇다면 \(\sqrt{-1}\) 를 곱하는 것은? -1의 제곱근을 곱하는 것이니, 180도의 절반, 즉 90도를 회전하는 것일까?
지금까지 한 일은 수를 변환의 개념으로 이해하고, 그 변환을 시각화하였다. \(i\) 를 곱한 것을 90도 회전으로 생각하면 곱셈, 덧셈과 같은 기본 법칙을 거스르지 않는가를 따져볼 필요가 있다.
수평면(數平面, Number Plane)
수직선(Number Line)을 서로 직교하도록 수평선(Horizontal Line)과 수직선(Vertical Line)으로 놓아서 수평면을 만들어 보자. 즉 도화지에 눈금을 만들어 모눈종이를 만들어 보자. 데카르트는 수평면에 직교좌표계를 도입하여 가하학과 대수학을 연결하려는 생각을 하였다. 그래서 우리는 이 직교좌표계를 Cartesian Coordinate
라고 부른다(르네 데카르트, Rene Descarte).
수평면에는 직교좌표계 이외에 극좌표계(Polar Coordinate
)를 사용할 수 있다. 직교좌표계를 \((a, b)\) 로 표현하면 극좌표계는 \((r, \theta)\) 로 나타내고, 둘 사이의 관계는 \(r = \sqrt{a^2 + b^2}\), \(\tan(\theta) = b/a\), \(a = \cos(\theta)\), \(b = \sin(\theta)\) 이다.
❝수평면을 활용하면 점, 선, 원, 삼각형, 사각형 등 기하학을 대수학의 수식으로 표현하여 고찰할 수 있게 된다.
복소 평면 (Complex Plane)
수평면의 y축을 허수축으로 구성해 보자, 즉 \(i, 2i, 3i, \cdots\) (참고로 0은 허수이기도 하고 실수이기도 하다). 이를 복소평면(Complex Plane
)이라고 부른다. 이렇게 되면 \(i\) 의 위치를 상상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면 위의 수평면과 동일하게, 임의의 \(a + bi\) 라는 복소수의 위치는 \((a, b)\) 라는 것도 알수 있게 된다. 극좌표계를 도입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도 있다.
\begin{align}a + bi = r(\cos\theta + i\sin\theta)\end{align}
복소수 더하기
복소수의 더하기를 해보면 위의 그림처럼 복소평면 상의 평행사변형법칙(Parallelogram Law
)이라고 하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begin{align}(a + bi) + (c + di) = (a + c) + (b + d)i\end{align}
복소수 곱하기
복소수의 곱하기도 몇가지 실제 값들을 넣고 해보고 그 값들을 복소평면에 나타내 보면, 다음과 같은 중요한 사실을 알 수 있다. 복소수를 극좌표계 형태, \((r, \theta)\) 로 나타내면, 원점과 그 점을 있는 방향으로 \(r\) 배 만큼 늘리거나 축소하고, \(\theta\) 만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과 같다.
\begin{align}(a + bi) \times (c + di) = (ac - bd) + i(ad + bc)\end{align}
또는
\begin{align}r_1(\cos\theta_1 + i\sin\theta_1) \times r_2(\cos\theta_2 + i\sin\theta_2) \\ = r_1 r_2(\cos(\theta_1 + \theta_2) + i\sin(\theta_1 + \theta_2))\end{align}
삼각함수 배각 공식(c2 = cc - ss
, s2 = 2cs
) 이용하면 위의 수식을 유도할 수 있다.
지금까지 두 개의 상이한 직관사이의 다리 놓기를 통해 허수를 상상해 봤다. 아직 더 가야할 길이 있다. \(e^i\) 또는 \(i^i\) 는 뭘까? 지수함수의 확장에 대해 알 필요가 있다. 이것을 배우면 드무아브로 공식, 오일러 공식에 대해서도 알게 된다.
총 21 개의 글이 있습니다.
# | 제목 | 날짜 | 조회수 |
---|---|---|---|
01 | 이항분포와 정규분포 | 2021/04/28 | 152 |
02 | 푸리에 급수 | 2021/04/28 | 333 |
03 | 해석적 확장과 감마 함수 | 2021/05/25 | 112 |
04 | 푸리에 변환 | 2021/05/25 | 268 |
05 | 수학적 증명 방법 | 2021/05/25 | 144 |
06 | 원주율 구하기 | 2021/04/22 | 142 |
07 | 자연상수의 무리수 증명 | 2021/05/25 | 122 |
08 | 스털링 근사 | 2021/05/25 | 173 |
09 | 선형변환 | 2021/04/29 | 146 |
10 | 자연상수와 지수함수 | 2021/04/22 | 136 |
11 | 동전 던지기와 확률 이야기 | 2021/04/28 | 142 |
12 | 수학 분야 | 2021/04/28 | 166 |
13 | 지수함수의 확장 | 2021/04/28 | 133 |
14 | 제타함수 | 2021/05/25 | 138 |
15 | 꼭 알아야 할 수학 기호 | 2021/04/28 | 124 |
16 | 정사영과 직교 | 2021/04/29 | 133 |
17 | 소수의 개수 | 2021/05/25 | 167 |
18 | 수의 기하학적 의미 | 2021/04/28 | 123 |
19 | 허수 | 2021/04/22 | 144 |
20 | 테일러 급수 | 2021/05/25 | 161 |
21 | Fast Fourier Transform | 2021/04/28 | 154 |